입고 프로세스의 핵심, Inbound Delivery를 알아보자!
SAP MM에서 Inbound Delivery(입고전표) 란,
"공급업체 또는 물류센터로부터 자재가 도착할 예정임을 알리는 문서" 를 의미합니다.
❝ Inbound Delivery는 실제 입고 전에 발생하며, 입고 계획과 자재 수령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필수 프로세스입니다. ❞
특히 대량 입고, 복잡한 물류 작업, 외부 창고를 사용하는 경우 Inbound Delivery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왜 입고 전에 이런 문서가 필요할까요? 🤔
✅ 입고 준비 최적화
✅ 자재 확인 절차 간소화
✅ 프로세스 투명성 강화
✅ 품질 검사(QM) 연계 용이
❝ Inbound Delivery는 입고 효율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잡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. ❞
Inbound Delivery를 생성하는 주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🔹 구매오더(Purchase Order) 기반 생성
🔹 ASN(Advance Shipping Notification) 기반 생성
🔹 수동 생성 (VL31N)
VL31N | Inbound Delivery 생성 |
VL32N | Inbound Delivery 수정 |
VL33N | Inbound Delivery 조회 |
MIGO | 입고 처리(입고 완료 시) |
❝ VL31N으로 Inbound Delivery를 생성하고, 실제 자재 도착 시 MIGO로 입고 완료 처리를 합니다. ❞
1. 구매오더 생성(ME21N)
2. Inbound Delivery 생성(VL31N)
3. 입고 예정일 관리
4. 실제 입고(MIGO)
5. 후속 프로세스 진행
❝ Inbound Delivery는 실제 입고 전 모든 준비를 완료하고, 입고 시 불필요한 대기나 혼란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합니다. ❞
❝ 포장 단위(Pallet, Box)까지 설정할 수 있어, 실제 물류 작업이 훨씬 쉬워집니다. ❞
| 구분 | Inbound Delivery | 입고(Receiving) | |:---|:---| | 시점 | 입고 예정 시점 | 자재 실제 수령 시점 | | 기능 | 입고 계획 및 준비 | 재고 업데이트 및 자산 인식 | | 관련 T-code | VL31N, VL32N, VL33N | MIGO, MB01 | | 특징 | 계획 기반 | 실제 발생 기반 |
✔️ TIP
🔎 구매오더와 일치 필수
🔎 입고 예정일 관리 철저
🔎 품질 검사 플래그 설정 체크
🔎 ASN 연계 프로세스 주의
❝ 사전 계획이 철저해야 입고 혼란을 막을 수 있습니다. Inbound Delivery 관리가 곧 입고 품질을 좌우합니다. ❞
🎯 Inbound Delivery는 입고 전에 자재 정보를 시스템에 등록해 입고 준비를 최적화하는 기능이다!
🎯 VL31N으로 생성하고, MIGO로 실제 입고 완료한다!
🎯 구매오더와 일치, 입고 예정일 정확성, 품질검사 연계 여부를 꼭 체크해야 한다!
제일풍경채 의왕고천 (본청약), 청약 경쟁률, 당첨자 발표일자, 시간 (0) | 2025.04.20 |
---|---|
숲속 친구들의 깜짝 파티 (어린이 동화) (0) | 2024.07.30 |